락스 냄새를 바로 알면
유한락스를 더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한락스 사용법
2022.05.19 03:33

유한락스로 드럼세탁기청소

jjj
조회 수 73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드럼세탁기의 세탁조를 유한락스로 청소하려합니다.

1. 다만 미리 세탁조에 락스50ml붓고 돌리게 되면 문이 잠기면서 배수를 하게 되는데 그때 락스가 다 빠져나가는건 아닌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만약에 그럴때 어느 타이밍에, 어느곳에 락스를 넣어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2. 연식이 좀 오래된거라 통세척 기능이 없습니다. 그러면 일반 표준모드로 세척하나요, 아님 헹굼-탈수 기능을 이용하면 좋을까요?

+ 표준(본세탁-헹굼-탈수)으로 돌리게 된다면 '냉수'설정하고 세제투입구쪽에 락스 넣으면 본세탁 돌아가면서 들어가지 않을까요??
  • ?

    jjj님 안녕하세요.
    안심청소 유한락스를 찾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1.
    문이 잠기면서 배수를 하게 되는데 그때 락스가 다 빠져나가는건 아닌지 궁금합니다.

    저희의 안내 범위를 벗어납니다.

    사용하시는 세탁기의 작동 방식이나 특성은
    세탁기 제조사에 문의하시길 부탁드립니다.

    2.
    어느 타이밍에, 어느곳에 락스를 넣어야 하는지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는
    본 세탁 중 빨래 추가 기능이 있습니다.

    본 세탁을 작동하신 후
    빨래 추가 기능을 선택하시면

    세탁조 덥개를 잠시 열어서
    세탁조 내부에 적정한 양의
    유한락스 세탁조 세정제를 투입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한 기능을 작동시키는 방법은
    세탁기 제조사에 문의하시길 부탁드립니다.

    3.
    제품 용기 라벨에 표시된 정보는
    가능하면 안내해 드리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제품 용기 라벨에 표시된 정보에는
    사용 시 주의 사항과 권장 사용법 등도
    최소 필수로 요약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한번 더 세심하게 살펴보시고
    제품 용기 라벨에서
    확인하실 수 없는 질문이 있다면
    알려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4.

    세제투입구쪽에 락스 넣으면 본세탁 돌아가면서 들어가지 않을까요??

     

    제품 용기 라벨에서
    확인하실 수 없는 질문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가능하면 세탁조에 직접 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은 단순하지만 

    매우 복합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세탁조 오염의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하시면

    무조건 더 jjj님에게 유익합니다.

     

    일단,

    아래의 페이지를 살펴보셔야 합니다.

     

    https://yuhangen.co.kr/white_paper/83642

     

    살펴보시면

    유한락스 세탁조 세정제는

    유한락스라는 살균소독제가

    주성분이어야 한다는 점을

    쉽게 공감하실 것 같습니다.

     

    이제

    유한락스의 살균소독력 = 산화력 = 모든 표면 부식력

    이라는 사실을 추가로 고려하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세탁기 내부의 세제 담금 통이나

    세제가 이동하는 관 등의 소재가

    유한락스의 산화력에 충분한 내구성을 갖췄는지는

    세탁기 제조사도 명쾌한 답을 제시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세탁조는 안전하냐고 반문하시는 것이 당연합니다.

     

    적법한 품질을 갖춘 세탁조는 

    유한락스의 산화력에 닿아도 버텨야 합니다.

     

    왜냐하면 엉뚱하게도

    농도가 매우 낮은 유한락스가

    화학적으로 수돗물의 특성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산화력의 효과는 누적되기 때문에

    세탁조가 유한락스의 고농도 산화력에 한번에 부식된다면

    수돗물의 저농도 산화력에 장기간 부식되는 결과와

    결국 동일해 집니다.

     

    세탁조 내부가 그동안 부식되지 않았다면

    세탁조가 일시적인 유한락스의 고농도 산화력에

    부식되지 않을 것이라는 근거입니다.

     

    다시 세제 투입구의 문제로 돌아오겠습니다.

     

    세제 보관 통에

    수돗물을 부어서 보관하시는 상황은

    상식적이지 않다는 점도 쉽게 공감하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세탁기 내부의 세제 담금 통이나

    세제가 이동하는 관 등의 소재가

    유한락스의 산화력에 충분한 내구성을 갖췄는지는

    세탁기 제조사도 명쾌한 답을 제시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저희가 감히 안내해 드리는 이유를

     

    이제는 쉽게 공감하실 것으로 기대합니다.

     

    보수적인 안전성이라는 관점에서는

    아무도 모르는 곳으로는 일단 안 가시는 것이 

    무조건 jjj님에게 안전하고 유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MSDS MSDS 제공 기준 안내 22 안심청소유한락스 2021.02.19 50434
공지 황변 상담은 전용 게시판에서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안심청소 유한락스 2018.08.07 17290
공지 소비자 불만 처리 절차 안내 92 안심청소 유한락스 2013.05.08 17111
4500 유한락스 제형에 변화를 줄 수 있을까요? 1 user 2016.09.02 417
4499 유한락스 개봉 및 희석 후 유효기간 2 user 2014.11.27 417
4498 유한락스 사용법 락스 원액+욕조+검은 반점 3 file 김세인 2022.12.27 416
4497 유한락스 사용법 락스 머그컵 한잔 섭취 1 우성진 2022.08.06 416
4496 유한락스 사용법 락스 곰팡이제거제 사용 후 분리수거 1 꾸이 2022.03.20 416
4495 유한락스 사용법 타 기업 분사형 제품과 유한 락스 제품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3 유리 2021.09.03 416
4494 유한락스 사용법 펑크린 비닐도 녹이나요? 1 서희정 2023.08.04 415
4493 유한락스 사용법 치약도 엄청위험한 Cl 염소 성분이 있는데 3 야옹이맘 2023.05.04 415
4492 유한락스 사용법 펫메스 리무버를 창틀 실리콘 곰팡이 제거에 사용할 수 있나요? 4 크림이 2022.07.25 415
4491 유한락스 사용법 창틀 곰팡이제거제 스프레이형 1 김나현 2022.02.15 415
4490 유한락스 사용법 흰옷이 락스에 담갔더니 핑크로 부분부분 물들었습니다 1 김가원 2021.05.27 415
4489 유한락스 사용법 이불에 곰팡이가 펴서 1 ㅇㅇ 2020.09.18 415
4488 유한락스 사용법 락스 뚜껑에 손잡이가 달린다면 어떨까요? 1 file ㅇㅇ 2020.02.22 415
4487 유한락스 사용법 락스 불량인지,,?? 1 박건용 2018.11.04 415
4486 유한락스 사용법 알바비 얼마? 6 유한락스 알바 2023.05.03 414
4485 유한락스 사용법 2030하남자들의 도태력 인증 게시판 입니다. 10 박경엽 2023.05.03 414
4484 유한락스 사용법 유한락스 성분 차이에 따른 효능 및 문제점 문의 1 JJJB 2021.05.06 414
4483 유한락스 사용법 락스 원액이 발가락에 묻어서 바로 물로 닦아냈는데 1 2020.08.14 414
4482 유한락스 사용법 유한락스 희석통은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나요? 1 염보영 2020.05.26 414
4481 유한락스 사용법 두가지 차이가 뭔가요? 1 file 김은주 2020.05.01 414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341 Next
/ 341
안심 청소 유한락스
유한락스를 믿으세요!
© yuhanrox.co.kr All Rights Reserved.